안녕하세요:)
저는 스토어를 시작한 지 막 한 달이 지났네요
많은 분들이 그렇듯이
저도 유튜브영상들을 많이 접한 후
스토어를 준비했어요
하지만 유튜브 영상들의 내용은
다 거기서 거기고
정말 현실적인 내용은 없더라고요
영업비밀 같은 거겠죠?ㅜㅜ
저의 이야기가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소자본 예비 창업자 분들께
정말 자세하게 현실적인 정보 및 꿀팁들을
드리고 싶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오늘 이야기할 부분은
아이템 선정
사업자등록
통신판매업증
발급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아이템 선정
우선 저는 판매하고 싶은 아이템이 정해져 있었어요. 그래서 유튜브, 블로그에 올라온 영상 및 글들이 저에게는 적용되지 않았지만 참고하시면 좋을 방법 추천드립니다. 아이템을 우선 선정해버리니까 뒤에 찾아오는 리스크들이 너무 많더라고요ㅜㅜ
경쟁력을 갖춘 아이템을 소싱하기 위해서는 시장조사를 우선 해야겠지요. 팔릴만한 상품이나 팔고 싶은 상품을 대략 선정해서 네이버 데이터랩이나 다른 키워드 분석 프로그램으로 키워드 검색을 해서 경쟁될 만한 상품을 찾아서 정하는 게 초보 셀러들에게는 더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네이버 데이터랩
네이버의 검색 트렌드 및 급상승검색어 이력, 쇼핑 카테고리별 검색 트렌드 제공
datalab.naver.com
사업자등록
위의 방법으로 아이템 선정이 끝나고 대략적이라도 브랜딩이 끝났다면 사업자등록은 정말 너무 간편하게 쉬웠어요! 비용도 들지 않고 인터넷 홈텍스에서 신청하시면 정말 몇 분 만에 끄읕~!
인 줄 알았으나... 저는 신청할 때 애를 좀 먹었습니다. 이유는 업종 선정 때문이었는데요!
업종 입력을 잘못하게 되면 반려되는 경우가 있어서 다시 블로그 찾아보고 신중하게 입력했습니다.
업태: 도매 및 소매업/ 종목: 전자상거래 소매업으로 신청했습니다.
저는 우선 간이과세자로 신청을 했어요.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는 사업 규모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부를 제외하고 매출액 기준 4800만 원 미만이면 간이과세자가 될 수 있어요. 부가가치 세법상 간이과세자는 1년에 한 번만 부가가치세 신고 및 납부하면 된다고 합니다. 또 일반 과세자와는 다르게 세금계산서의 발급의무가 없습니다.
일정 매출이 나오지 않으면 부가가치세 납부의무 자체가 면제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일반과세자보다 상대적으로 세금 부담이 적습니다. 또한 매출액 4800만 원이 넘을 경우 자동으로 일반과세자로 변환된다고 하니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간이과세자로 내는 게 좋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및 통신판매업증 발급
1)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발급을 저는 조금 귀찮은 방법으로 했는데요.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을 발급해주는 은행은 3개밖에 없다고 해요 ㅜ 저는 제일 가까운 농협으로 달려가 사업자 통장을 개설하고 집으로 와서 공인인증서(4900원) 발급을 마쳤습니다. 비스크로 신청을 위해서는 인터넷으로 신청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비스크로 신청을 하고 다음날 또다시 농협을 방문해서야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을 발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모든 걸 끝내고 나니 정말 어이없는 게 스마트 스토어에서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을 발급받을 수 있더라고요... 하하하ㅏ하핳
스마트스토어센터 - 판매자 정보(좌측 메뉴) -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발급(우측 상단) 클릭
2) 통신판매업증
통신판매업증은 정부 24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말 간단하지만 수령을 할 때는 꼭 구청으로 직접 가서 수령해야 하고 수수료(40500원)를 납부해야 합니다. 또한 처음 신청 때는 납부기한이 있기 때문에 신청하시고 빨리 찾으러 가시는 게 좋아요!
구청에서 통신판매업증을 수령하고 나니 설명에 1년에 한 번 신청하고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인터넷에 이런 말은 없었잖아..) 저는 10월에 신청했기 때문에 3개월 후 또 수령하러 구청에 가야 하네요..ㅎ
정부24
www.gov.kr
우당탕탕 초보 우당탕탕 스마트 스토어 창업 이야기 2 에는
스토어 꾸미는 법에 대해서 가지고 올게요!
허접하지만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